본문 바로가기

한국과학기술정책플랫폼협동조합
Korea Science Policy Platform co-op
K
S
P
P
  위의 각 알파벳을 누르면 주요내용으로 빠른이동 됩니다:)

연구소재지원사업, 성과관리 위주의 관리체계 개선 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18-04-20 10:25 조회4,034회

본문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을 위한 중요한 국가인프라사업인 연구소재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고위험군 바이러스 혈액매개감염 인체자원은행(은행장 차영주, 중앙대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차세대 연구소재 지원사업 혁신 전략'을 주제로 18일 중앙대학교에서 연구교류회를 개최했다.

연구소재지원사업은 확보, 개발, 관리 과정에서 고도의 기술이 수반되고 상품화는 어려우나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특화된 연구소재의 생산 및 확보, 관리, 공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1995년 처음 시작된 사업으로서,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을 위한 중요한 국가인프라사업이다. 특히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연구 환경이 변화하고 있고, 연구소재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 자리에서 ‘차세대 연구소재지원사업 혁신전략’에 대해 발표한 김준모 박사(한국과학기술정책 플랫폼 협동조합)에 따르면 95년 연구소재지원사업 출범 이후 연구비는 97년 4.5억에서 17년 58억으로 지속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체 연구비 증감에도 불구하고 은행당 평균 연구비는 1억 내외의 소규모 과제를 수행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연도별 예산 증가, 검증확보 소재 수 증가 등 투입 및 성과 연계성 부재가 성과체계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울 문제로 지적했다. 실제 연도별 분양 소재 수는 최대 15,662~최소 2,960개로 성과관리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연구소재지원사업 거버넌스 체계 부재로 연구조직간 역할 임무의 중복이 발생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꼽았다.

이에 전체 지원은행(총 91개)의 32%만 10년 이상 연속하여 연구 소재를 확보하고 있으며, 중단 및 종료은행(68%)의 소재 관리 연속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 연구소재지원사업은 구조상 과학기술 분류체계에 따른 소재은행 운영으로 유사 소재간 경쟁을 유발해 다양한 소재확보 기회가 부족하며, 이에 따라 국가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따라 거버넌스가 변화해 소재유형별 운영되던 거점센터에서 ‘17년 중점투자분야가 신설되기도 했다.

 

한편, 소재은행 운영방안 및 중점투자분야 우선순위 설문조사 결과(전체 33개 은행중 17개 은행 응답) 첫째, 대학 기반의 전문성, 특이/희귀 소재 등 다양한 소재 발굴 목적의 운영방안 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두 번째는 연구소재사업화 대비 확보, 분양, 기탁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구체적으로는 선정단계에서는 미래가치 고려의 기초연구 중요성, 운영단계에서는 은형별 맞춤형 지원을 고려, 평가단계에서는 확보 소재 품질 우수성 최우선 고려, 종료중단 단계에서는 현실적 소재 이관/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사됐다.

또한 은행마다 전문 큐레이터는 71% 수준으로 확보하고 있으나 소수 인원으로 자체 교육, 훈련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내부 교육 중심의 인력 양성(63%)해소를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또한 전문 큐레이터의 의무화와 양성 연구비 할당 등 관련 제도 도입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 박사는 차세대 연구소재지원사업 혁신방안으로 ▲중장기 사업전략 부재, 일률적 지원체계, 관리과제 기능개선 ▲수요조사 가반의 사업체계성, 효과성, 효율성 등 혁신적 운영방안 도출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그는 “확보된 풀뿌리 연구소재의 후속 연구로 연구소재 중단, 소멸, 망실 등을 해소해야 하며, 연구소재 양적 건수에서 다양화 및 표준화 등 연구안보 기여 중심의 성과관리로 계속적인 지원 및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효율성 차원에서는 연구소재 기반부터 미래유망, 융복합 분야까지 사업 포트폴리오의 다양화, 연구목적별 이원화 전략으로 연구소재 특성이 반영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체계성에 있어서는 과학기술 분류체계 기준에서 개방형, 협력형, 자율성 연구조직 육성과 동일 분야의 일률적 지원으로 내부경쟁을 하는 현실에서 나아가 자율적 연구조직 지원으로 은행간, 분류간 칸막이를 해소해 은행간 소통, 개방 활성화로 소재의 전략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문선희 기자  kmedinfo@hanmail.net